경기도, ‘1회용품 안쓰는 생활 정착’ 목표로 1회용품 줄이기 종합대책 추진
- 1회용품 사용금지 대상 전체 공공시설로 확대 등 담아

본문
김동연 지사, '1회용품 사용 줄이기 실천 선언식' 참석 .(경기도청제공)
부대행사로 다회용기 서비스, 업사이클 및 녹색제품 등 전시회 연계하여 개최.(경기도청제공)
○ 도, 23일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주관 ‘1회용품 사용 줄이기 실천 선언식’ 개최
- 공공기관장, 기업·소상공인·소비자·환경 단체 및 미래세대 등 약 420명과 함께 소통 토크 및 1회용품 줄이기 실천 선언
○ ‘1회용품 제로로, 경기도가 제대로’ 비전의 일회용품 줄이기 종합대책 발표
- 일회용품 안 쓰는 생활 정착 목표 위해 4개 분야 16개 추진과제 마련
- 부대행사로 다회용기 서비스, 업사이클 및 녹색제품 등 전시회 연계하여 개최
○ 김동연 지사, “OECD국가 중 재생에너지 비율이 유일하게 줄어 든 나라가 대한민국. 마음 무겁다. 경기도가 앞장서 경기도의회와 함께 최대한 노력하겠다”밝혀
경기도가 1회용품 사용을 줄이기 위한 종합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는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주관으로 23일 경기도청에서 실시된 1회용품 사용 줄이기 실천 선언식에서 공개되었다.
이번 대책은 탄소중립에 역행하는 중앙정부 정책의 정상화를 촉구하고, 1회용품을 사용하지 않는 생활문화를 국민 일상에 정착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도는 4개 분야 16개 중점 추진 과제를 마련하였다.
공공부문 선도 분야에서는 1회용품 제로 공공시설 확대, 1회용품 제로 공공 축제·행사·회의 개최, 공공시설 공유 컵 스테이션 설치·운영 등을 계획하였다.
민간확산 지원 분야에서는 공유 장바구니 지원사업, 1회용품 제로 경기 특화지구 시범조성, 경기 옹달샘 운영, 민간 다중이용시설 다회용기 서비스 도입 확대 등을 추진한다.
도민참여 활성화 분야에서는 다회용기 사용 인센티브 제공 확대, 경기 자원순환 지도 플랫폼 구축·운영, 자원순환마을 확대, 폐플라스틱 업사이클 활성화 등이 계획되어 있다.
추진 기반 조성 분야에서는 환경부의 1회용품 규제 철회 정책 원점 재검토 촉구, 1회용품 사용 규제 권한 지방정부 이양 등으로 순환경제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와 같은 종합대책 발표 이후, 참석자들은 1회용품 사용 줄이기 실천과 함께 순환경제 사회로의 전환에 경기도가 앞장설 것을 선언하였다. 이날 부대행사로는 다회용기 서비스, 자원순환마을, 업사이클 및 녹색제품 등 전시회가 있었다.
[저작권자 ⓒ The Media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제를 금지]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