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령대 낮아지는 ‘젊은 뇌졸중’ 치료법 발전했지만 예후는 수년간 제자리

본문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배희준 교수.(분당서울대병원제공)
연령대 낮아지는 ‘젊은 뇌졸중’
치료법 발전했지만 예후는 수년간 제자리
- 12년 동안 전국 17개 병원에서 모집한 7,050명 데이터 대규모 코호트 분석 -
18-50세 ‘젊은 뇌졸중’, 전체 뇌졸중의 10~15%, 고령에 비해 질병부담도 커
2008~2019년 전국 17개 병원에서 7,050명 뇌졸중 환자 데이터 대규모 코호트 분석 결과
젊은 뇌졸중 발병연력 43.6세→42.9세로 발병연령 낮아져, 젊은 여성에서 증가 두드러져
혈전용해제 투여율 등 치료 지표는 개선됐지만 사망률 등 실제 예후는 제자리
혈관재개통치료 지표 개선은 약 20% 환자에만 도움, 병원 이송까지 8시간대 변화 없는 점 영향
배희준 교수 “젊은 연령도 뇌졸중 경각심 가지고 고혈압 등 원인질환 파악 및 관리 필요” 조언
증상 발생부터 이송까지 걸리는 시간 단축하기 위한 응급의료 시스템도 정비해야
한국인의 '젊은 뇌졸중' 발병 연령대가 점점 낮아지고 있으며, 예후는 악화되거나 그대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배희준 교수 연구팀이 2008년부터 2019년까지 17개 병원에서 18세에서 50세 사이의 뇌졸중 환자 7,050명을 조사한 결과이다.
젊은 뇌졸중은 전체 뇌졸중 환자의 약 10~15%를 차지하며, 이들은 평생 후유장애를 안고 살아야 하기 때문에 고령보다 질병 부담이 높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젊은 뇌졸중의 평균 발병 연령은 최근 12년간 43.6세에서 42.9세로 낮아졌다.
특히 여성 뇌졸중 환자 중 18~30세 비중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남성도 증가했다. 그러나 치료 성적은 큰 변화가 없었다.
최신 진료 지침에서 요구하는 치료 지표는 개선되었지만, 사망률이나 기능적 회복률과 같은 치료 결과는 변동이 없었다. 게다가 1년 내 재발률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연구팀은 예후가 개선되지 않는 이유로, 혈관재개통치료 지표 개선의 수혜를 받을 수 있는 환자는 전체의 20%에 불과하다는 점과, 뇌졸중 발견 후 병원 도착까지 시간이 여전히 8.0시간으로 큰 변화가 없다는 점을 지적했다.
뇌졸중은 빨리 치료할수록 뇌 손상을 줄일 수 있는데, 12년 동안 병원 이송까지 걸리는 시간을 거의 단축하지 못했다.
또한, 뇌졸중을 유발하는 고혈압, 당뇨병, 부정맥 등 원인질환에 대한 인지율과 치료율이 그대로인지 악화된 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한다.
이에 배희준 교수는 뇌졸중 위험을 높이는 원인 질환을 사전에 파악하고 관리하며, 응급의료 시스템을 개선하여 빠르게 치료 가능한 병원을 찾을 수 있도록 국민들이 개별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한 심인성 색전증 등에서는 항응고제 사용과 관련된 연구와 치료 지침 마련이 시급하다고 전했다.
이번 연구는 국립보건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으며, 연구 결과는 'Stroke' 라는 학회지에 게재되었다.
[저작권자 ⓒ The Media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제를 금지]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