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 창릉신도시, 일자리와 자연 어우러진 자족형 미래도시로 도약
- 창릉신도시 호수공원 조성 적극 추진… 창릉천 통합하천사업도 단계적 정비
- 기업 투자유치 전략 강구… 성공적 자족도시 위한 기능 강화
- 시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로 수도권 서북부 중심지로 자리매김할 것”

본문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면담 중인 이동환 고양특례시장.(고양시제공)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면담 중인 이동환 고양특례시장.(고양시제공)
창릉신도시 조감도.(고양시제공)
창릉신도시 조감도.(고양시제공)
창릉지구 기업 유치 위한 민관공 협의체 회의.(고양시제공)
창릉천 통합하천사업 기본계획.(고양시제공)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는 3기 신도시 창릉지구를 주거, 일자리, 여가,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자족도시로 개발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밝혔다.
창릉신도시는 수도권 서북부의 중심으로 도약하여 고양시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새로운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동환 시장은 “창릉신도시는 자족기능이 강화된 일자리 중심의 도시로 조성돼야 한다”며, 벌말마을을 포함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개발 계획 수립과 호수공원 조성을 통해 주민들이 만족할 수 있는 삶의 터전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창릉신도시는 고양시 덕양구 일원에 789만19㎡(238만6천평) 면적으로 2029년 준공을 목표로 하며, 서울과의 근접성과 우수한 교통망을 바탕으로 수도권 균형 발전의 핵심 지역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시는 호수공원 조성을 통해 건강하고 쾌적한 생활 공간을 제공하고, 지역사회 공동체 형성과 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계획이다.
또한, 이동환 시장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의 협의를 통해 자족 기능 강화와 호수공원 조성의 필요성을 재차 강조하며 적극적인 협력을 요청했다. 벌말마을 편입을 통해 자족용지를 추가 확보하고 일자리 창출을 기대하고 있다.
시는 창릉신도시의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 마련을 위해 주요 대기업 유치 활동과 투자유치위원회를 통해 대규모 개발 구역 투자유치 방안을 논의하고 있으며, 최근 일본과 오스트리아 등 4차 산업 분야 기업들을 대상으로 투자설명회를 개최했다.
[저작권자 ⓒ The Media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제를 금지]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