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특허청과 UAM산업 기술·특허 동향 교류
- 국내외 UAM 산업 최신 기술 및 동향 공유 및 지식재산 경쟁력 강화 방안 논의
- SKT, UAM 상공망 통신, 교통/운항관리 등 표준화 및 특허 출원 진행…국내 UAM 상용화 선도

본문
SKT는 특허청과 UAM 관련 국내외 최신 기술과 특허 동향을 공유하고, UAM 지식재산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의견을 교류하는 간담회를 SKT 판교사옥에서 개최했다고 20일 밝혔다.(SK텔레콤제공)
왼쪽부터 특허청 (박장환 수석심사관, 전일용 자율주행심사과장, 정헌주 심사팀장, 윤병수 디지털융합심사국장), SKT (김태환 컴플라이언스 추진담당, 이종민 미래 R&D담당, 류탁기 인프라 기술담당) 순.(SK텔레콤제공)
SK텔레콤이 특허청과 함께 도심항공교통(UAM) 관련 최신 기술과 특허 동향을 공유하는 간담회를 개최하였다고 20일 발표하였다.
이번 간담회는 UAM 산업의 기술 및 지식재산 트렌드를 상호 공유하여 연구개발 성과를 촉진하고 신속한 원천특허 확보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간담회에서 SKT는 UAM 비전과 운항관리, 교통관리, 상공망 통신 기술 등을 소개하며, 이러한 개발 기술에 대해 지속적으로 특허출원 중이라고 밝혔다.
SKT는 UAM을 AI 전환(AIX ; AI Transformation)의 매개로 활용한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글로벌 UAM 기체 제조사 조비(Joby Aviation)에 1억 달러의 전략적 투자를 단행하여 한국 시장에서 조비 기체를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권리도 확보하였다.
또한 SKT는 안전한 운용을 위한 4D 궤적기반운영 운항관제와 항로이탈 모니터링 기술, 그리고 MaaS(Mobility as a Service)와 연계한 서비스 등을 개발 중이며, 상공망(Aerial Network) 비전 구축에도 적극적인 노력을 보여주고 있다.
김태환 컴플라이언스 추진담당은 "UAM 관련 지식재산 경쟁력을 확보해 국내 UAM 상용화를 선도하겠다"라며 SKT의 야심찬 계랍을 밝혔다.
[저작권자 ⓒ The Media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제를 금지]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