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과다 및 부적절 약물’ 복용 많아.. 무분별한 약물 복용 경각심 가져야 > 경기

본문 바로가기

경기

노인 ‘과다 및 부적절 약물’ 복용 많아.. 무분별한 약물 복용 경각심 가져야

- 66세 젊은 노인 35.4%가 5개 이상 약물 복용, 부적절 약물 복용은 절반 이상 -

profile_image
[더 미디어=박보현기자] 2023.11.27 20:41

본문

[사진] (왼쪽부터) 분당서울대병원 입원전담진료센터 김선욱 교수, 서울아산병원 정희원 교수,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윤지은 팀장 .jpg

(왼쪽부터) 분당서울대병원 입원전담진료센터 김선욱 교수, 서울아산병원 정희원 교수,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윤지은 팀장 .(분당서울대병원제공) 

 

 

분당서울대병원 입원전담진료센터 김선욱 교수

 

 

노인 과다 및 부적절 약물복용 많아..

 

 무분별한 약물 복용 경각심 가져야

 

 

66세 젊은 노인 35.4%5개 이상 약물 복용, 부적절 약물 복용은 절반 이상 

 

* 분당서울대, 서울아산병원, 한국보건의료연구원 공동 연구, 66젊은 노인’ 35.4%5개 이상 약 복용

* 10개 이상 8.8%, 복용하는 약물 개수 늘어날수록 이익보다 위험성이 더 커질 수 있어 주의 필요

* 여러 약물 복용 시 노인 부적절 약물복용 위험도 증가, 53.7%1종 이상 부적절 약물 복용

* 부적절 약물 복용 시 사망 위험 25% 증가, 3등급 이상 장기요양등급 받을 위험 46% 증가

* 부적절 약물 2종 이하는 장애위험 31% 증가, 3종 이상은 81%, 중복될수록 위험성 크게 증가

* 노령 인구에서 약물 과다 및 부적절 약물 사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 촉구 근거될 전망

 

 

우리나라 노인 인구에서 다약제(5개 이상 약물) 복용 및 부적절 약물 복용자가 매년 증가하고, 이로 인한 사망 혹은 장애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분당서울대병원 입원전담진료센터 김선욱 교수 공동연구팀에 의해 발표되었다.

이 연구는 2012년부터 2021년까지 10년간 66세 노인 330만 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이 중 35.4%가 다약제를 90일 이상 복용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53.7%에서 1종 이상의 '노인 부적절 약물'을 복용하고 있었으며, 부적절한 약물 사용이 중복될수록 사망 위험이 25% 증가하고, 3등급 이상의 장기요양 등급을 받을 가능성이 46% 높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노인들의 다약제 및 부적절 약물 사용에 대한 의료계, 시민, 정부의 다각적 관심을 촉구하였다.

김선욱 교수는 "66세의 젊은 노인들 중에서도 상당수가 다약제 및 노인 부적절 약물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사망 위험이 증가 혹은 높은 장기요양 등급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The Media 콘텐츠의 무단 전재 및 복제를 금지]

[이 게시물은 nolbu님에 의해 2023-11-30 00:36:13 사회 • 사건에서 이동 됨]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